7초 전



약통장이란? 


내집마련의 꿈은 누구나 가지고 있으실텐데요. 가장 손쉽고 비교적 저렴하게 내집마련을 하기 위해서는 분양을 받아야하고 분양을 받기 위해서는 청약통장을 가지고 계셔야합니다. 지역별, 대상지역마다 차이가 있지만 보통 1~2년 정도 가입을 하셔야 분양자격을 얻습니다. (최근 투기지구, 투기과열지구가 2년) 이런 청약을 하기 위해서는 청약통장이 필요합니다. 요즘엔 2009년 기능이 통합된 주택청약종합저축을 드시지만 예전에는 청약예금, 청약저축, 청약부금이란 것이 각각 따로 있었습니다. 예전에 가입해서 아직 유지하시는 분들은 아직 청약저축, 청약부금당시의 축소된 기능들로만 가지고 계신분들도 있습니다. 부의 공평한 분배를 위해서 도입된 청약제도에 대해서 제대로 알고 혜택을 누리시길 바랍니다.  



청약저축

- 국민주택을 분양받기 위해 가입하는 저축 (공공분양 포함) 매월 적립한 금액이 많은 사람에 일순위 

- 현재 폐지 



청약부금

- 전용면저 85제곱미터 이하의 민간분양을 받기 위해 가입하는 부금 

- 현재 폐지 



주택청약종합저축

- 공공주택, 민간주택을 분양받기 위해 가입하는 저축이며 현재 가입하는 청약통장이 모두 이것에 해당

- 납입방식은 자신이 정한 2~50만원의 금액중 매월 같은날에 예치하는 방식

- 총 예치금액이 1,500만원 이하의 경우에는 일시예치가 가능 

- 그 이후부터는 최대 50만원까지 자유롭게 예치가능 

- 일반적인 통장보다 금리가 높음 

- 청년우대형청약통장은 이보다 1.5% 더 좋은금리

- 연말정산혜택 가능 (한도 96만원, 연봉7천만원 이하로 무주택자) 



청약통장 취급하는 시중은행

- 총 9개로 하나, 우리, 국민, 신한, 농협, 기업, 대구, 부산, 경남은행 



청년우대형청약통장

- 청년우대형청약통장에 대해서 자세하게 궁금하신분은 아래 포스팅을 확인해 보세요.  

 https://thinkk.tistory.com/62



지역별예치금


구분

서울, 부산 

85 m이하

300만원

85m2 초과 ~ 102m2 이하

600만원

102m2 초과 ~ 135m2 이하

1000만원

135m2 초과 

1500만원


구분

기타광역시

85 m이하

250만원 

85m2 초과 ~ 102m2 이하

400만원

102m2 초과 ~ 135m2 이하

700만원

135m2 초과 

1000만원


구분

그외 기타

85 m이하

200만원

85m2 초과 ~ 102m2 이하

300만원

102m2 초과 ~ 135m2 이하

400만원

135m2 초과 

500만원



예치금이 부족하다면 ? 

- 주택청약을 하기전이 아닌 '모집공고일' 전에 예치금을 마련하시면 됩니다. 

- 예치금이 부족하다고 하더라도 모집공고일을 미리 알아두시고 지역에 맞게 일시예치하시면 되기 때문에 매달 납입금이 적다고 하더라도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기금관리 

- 청약에 저축한 돈은 '주택도시기금'에 편입되며 '주택보증공사(HUG)'에서 이를 관리합니다. 



청약통장 Tip

- 중간에 예치를 못할 것 같다고 하더라도 청약시 납입기간을 보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해지하지마시고 유지하시기를 바랍니다. 금액의 경우 부족하면 한번에 불입해 넣을 수 있기 때문에 크게 신경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 청약통장에 저축한 금액만큼을 담보로 예금대출이 가능합니다.


- 만17세부터 불입인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부모들의 경우에 성인이전의 자녀에게 가입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 한번 분양에 당첨되면 계약여부와 상관없이 청약통장의 기능을 상실하여 새롭게 가입해야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신중하게 분양에 사용하세요 


- 청약 부적격자가 될 경우에는 수도권 과밀억제권의 경우 5년 그외지역은 3년동안 당첨이 불가하니 부적격자가 되지 않도록 분양모집공고문을 꼼꼼히 보시고 지원을 하시길 바랍니다.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