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실생활에 엄청나게 방대하게 쓰입니다. 정부에서 국민에게 지원하는 모든 정책과 사업 그리고 민간에서 분양하는 아파트 등 기초연금지급, 국가장학금, 입주자격, 각종 자금 지원, 의료보험 등등등 해당되지 않는 것이 없습니다. 소득을 근거로 대상자를 측정해야 하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기준에서 본인의 가구가 몇명이고 해당 가구수의 몇%인가의 기준으로 지원대상자인지 대상자가 아닌지가 결정됩니다. 별 것 아닌 것 같지만 기본적으로 알아두어야할 부분입니다.
해당년도 적용되는 데이터는 전년도 소득 데이터를 기반으로 산출되며, 국가가 생각하는 소득 기준에서 우리 가구의 소득이 어느정도에 분포되어 있는가를 확인하는 재미난 지표로 확인해 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2020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
|
3인이하 |
4인가구 |
5인가구 |
80% |
4,501,517 |
4,981,074 |
5,550,683 |
90% |
5,064,207 |
5,603,708 |
6,244,518 |
100% |
5,626,897 |
6,226,342 |
6,938,354 |
110% |
6,189,586 |
6,848,976 |
7,632,189 |
120% |
6,752,276 |
7,471,610 |
8,326,025 |
(자료출처 : 통계청)
다른 % 구간을 구하려면 100% 구간 금액에서 x 해당 %를 하시면 되겠죠
예) 3인가구 60% 소득 = 5,626,897 x 0.6
2019년도 월평균소득 (100% 기준)
3인이하 5,401,814
4인가구 6,165,202
5인가구 6,699,865
6인가구 7,348,891
규제지역(투기,투기과열,조정) 주담대 범위 (0) | 2020.09.21 |
---|---|
영끌의미와 영끌의 9가지 방법 (0) | 2020.09.21 |
분양 5년 재당첨제한에 시점기준은? (0) | 2020.09.20 |
주택소유자지만 무주택자로 보는 8가지 (0) | 2020.09.20 |
행복주택 신청조건 및 자산기준 (0) | 2020.09.19 |